본문 바로가기
엄마의 돈 버는 공부

주식을 살 때 기업 실적을 보라는데 뭘 어떻게 봐야 하지? #매출액 #영업이익 #당기순이익 #컨센서스

by 러빗_ 2021. 1. 22.
728x90
반응형

 

※ "이 정도는 당연히 안다 치고" 넘어가지만 완전 초보자는 모르는 기초 상식들을 정리합니다.

 

 

기업 실적은 어디서 확인하지?

증권사 어플에서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.

아래는 내가 쓰고 있는 NH투자증권 어플 화면.

종목 검색하면 <종목상세>와 <재무> 탭을 찾을 수 있다. 

<종목상세>에서는 기업이 무슨 기업인지 기업개요와 가장 최근에 발표된 분기 순이익, PER, 배당금을 확인할 수 있다.

※ PER은 회사의 이익이 매년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, 투자자가 초기 투자 금액을 회수하는데 걸리는 햇수를 말한다. 삼성전자 PER이 22.61이라면 투자자는 22년 후에 투자금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다는 뜻이다. 

  

<재무>에서는 연간/분기별 추세를 확인할 수 있고

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다면 <재무>에서 <기업정보 바로가기>를 클릭하면 볼 수 있다. 

 

 

 

 

컨센서스

 

기업 실적이 정식으로 발표되기 전에 각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예측한 분기별 실적 전망치의 평균을 말한다.

 

이 컨센서스를 기준으로 실제 실적을 비교해서

실제 실적이 대략 10%를 상회하면 #어닝서프라이즈

대략 10%를 하회하면 #어닝쇼크 라고 본다.

 

컨센서스는 증권사 어플 기업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

 

 

 

 

기업이 발표한 실적에서 확인해야 하는 것들

 

매출액

기업이 기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금액의 총량

 

 

영업이익

 

매출액 - 매출원가 - 관리비&판매비

 

매출액은 비슷한데 영업이익이 줄었다면, 비용관리에 실패한 것으로 볼 수 있다.

업종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나기 때문에 비슷한 업종끼리 비교해야한다.

 

 

당기순이익

 

영업이익 + 영업외손익 - 영업외비용 - 법인세

 

 

당기순이익에는 예금이자나 부동산 투자, 각종 투자 등 본업과 별도로 기업이 벌인 기타사업에서 벌거나 잃은 돈이 포함된다.

 

'순이익'이라는 표기로 인해 마치 기업이 벌어들인 진짜 '순수한' 이익처럼 보이지만, 부동산 및 설비를 팔았다거나 하는 일시적인 이익도 당기순이익으로 포함되기 때문에 기업이 진짜 돈을 잘 버는지 확인하려면 영업이익을 확인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